MZ 세대를 위한 뉴스

snaptime logo

연봉 정보 미공개에...구직자만 발동동 '속앓이'

 

채용 박람회를 둘러보고 있는 구직자들 (사진=연합뉴스)


구직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취업 정보는 아무래도 연봉이다. '내 연봉이 얼마인가'는 자신의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이자, 더 나아가 자존심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작 기업들에게 직원들의 연봉은 숨기고 싶은 정보인 것 같다. 이들이 연봉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도 다양한데 ‘회사 내규에 따름’ 혹은 ‘협의 후 결정’ 등이다.

하지만 구직자들 입장에선 답답하기 그지없다. 많은 이들이 구직활동시 연봉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도 부당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연봉 비공개, "너무 적은 연봉 받을까봐 걱정"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구직자 389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따르면 86%가 구직활동 시 ‘을’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 중 연봉 수준을 알지 못하고 회사 내규에 따라야 할 때 ‘을’을 느낀다고 답한 비율이 17.4%를 기록했다. 마찬가지로 ‘연봉과 복리후생 정보 제공이 이뤄지지 않을 때’ 불만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도 11.2%로 집계됐다.

하반기 공채를 준비하고 있는 취업준비생 차윤택(26)씨도 이와 같은 고민을 겪고 있다. 차 씨는 지원하고 있는 기업 몇 군데가 임금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걱정이다. 합격을 해도 예상했던 연봉보다 적을까봐 노심초사하는 것이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했는데 연봉 때문에 고민하고 입사를 포기하면 투자한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기 때문이다. 차 씨는 "정보를 조금이라도 얻고 싶어 취업 커뮤니티나 전·현직 직원들을 어렵게 수소문해 물어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원서를 넣기도 빠듯한데 이런 것 까지 직접 알아봐야 하나"라며 불평했다.

연봉 문제로 최종 입사를 포기하는 사례도 있다. 권도익(30·가명)씨도 얼마전 이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겪었다. 그는 최종 합격까지 하고 입사를 앞뒀지만 포기했다. 입사 직전 연봉협상 문제 때문이었다. 희망연봉을 기재하라고 해서 원하는 연봉을 적었지만 입사를 앞두고 연봉을 맞춰주지 못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희망연봉을 제시하자 회사측에서는 "우리 회사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높다"고 했다.

그는 회사가 원하는 급여가 얼마인지 물었지만 "회사 기밀이라 알려줄 수 없다"라며 끝내 연봉정보를 감췄다. 그는 "우리 업계에서는 이 정도 연봉이 적당하다고 생각한건데 못 맞춘다는 게 말이 되냐"며  "기업들이 정정당당하게 연봉을 공개하고 채용을 해야할 것"이라고 격분했다.

이렇게 베일에 가려진 임금 정보 탓에 남들보다 부당한 대우를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깜깜이 임금 정보가 누군가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지만, 다른 쪽에서는 터무니없이 낮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봉이 적어 일부러 공개를 안하는 게 아니냐"는 의문들도 생기면서 기업들이 구직자를 위해 공개하는 편이 바람직하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흘러나온다.

면접을 하고 있는 면접자 모습 (사진=이미지투데이)


'채용공고 임금조건 공개 의무화' 승부수 될까

이같은 정보의 비대치성 때문에 피해를 보는 구직자들이 늘면서 국민권익위원회가 나섰다. 권익위는 지난해 ‘채용공고에 임금조건 공개 의무화’방안 을 마련하라는 제도개선안을 권고했다. 권고안을 받은 고용노동부는 세부방안을 확정하고 채용절차법을 개정한 뒤 의무화 고지를 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해당 권고안을 두고 민간 기업에 대한 정부의 과한 개입이라고 보기도 한다. 임금 정보도 기업의 기밀 사항이라며 이를 공개하라는 건 '채용 관련 규제'라고 표현하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구인구직 포털 '사람인'이 458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인사 담당자 68.1%가 임금공개를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임금에 불만을 품고 떠나는 퇴사자들이 줄어들 거라고 전망하는(57.1%)것이다. 인사 담당자들 또한 임금조건 공개 의무화 방침을 받아들일 준비가 된 셈이다.

구직자들은 하루 빨리 권익위의 권고가 현장에서 시행되길 학수고대하고 있다. 연봉정보가 제한돼 불편을 겪었던 구직자들은 면접에서나 연봉을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권익위의 권고가 의무화되면 이런 걱정을 상당 부분할 해소할수 있는 것이다. 앞서 답답함을 토로했던 차 씨도 "하루 빨리 제도가 정착돼 연봉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길 바란다"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스냅타임 민준영 기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