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를 위한 뉴스

snaptime logo

"빅히트·SM은 온라인 공연이라도 한다지만"... 중소 기획사 코로나19에 '눈물'

오랜 기간 콘서트 무대 조명업에 종사해 온 A씨는 최근 근심이 깊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 하면서 음악 축제가 오랫동안 열리지 못하자 들어오던 일감이 완전히 끊겨 버린 것. 현재 A씨는  조명업이 아닌 택배 배송 업무를 하고 있다. 얼마만큼의 시간이 흘러야 본업을 다시 시작할 수 있을지 A씨는 "한 치 앞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난 19일 SM‧빅히트 등 국내 K팝 대형기획사들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오프라인 콘서트를 진행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달라고 건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와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을 정상적으로 개최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나눴다.

특히 대형 기획사가 아닌 대중음악업계 중소형 기획사 종사자들은 더 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의 수익을 콘서트·음악 공연으로부터 얻지만 SM‧빅히트 등이 흥행시킨 '온라인 콘서트'는 이들에게 '그림의 떡'이다.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에 대한 분명한 가이드라인도 없어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SM‧빅히트 등 대형 기획사들이 문체부와의 간담회에서 오프라인 콘서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달라고 건의했다.  (사진=뉴시스)


대중음악업계, 공연 연기·취소로 63억원 손해

중소 레이블과 음악 유통사 등이 가입한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에 따르면 협회 내 회원사 44곳이 올해 2~4월에 열기로 했던 행사 중 73개가 코로나19로 연기‧취소돼 약 62억 7000만원에 달하는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중음악 전체에서도 같은 기간 동안 약 200여개의 공연이 연기‧취소돼 630억원이 넘는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중음악계의 타격은 올 여름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윤동환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부회장은 “6~7월이 되면 코로나 사태가 잠잠해질 것이라 생각해 봄에 열릴 예정이었던 대규모 축제를 여름으로 연기했다”며 “하지만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7월 개최 예정이었던 그린플러그드 페스티벌를 포함해 8월 말까지 예정됐던 대형 축제가 잇따라 취소돼 업계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11일 서울 마포구 MPMG에서 열린 코로나19 음악산업계 대응책 논의 세미나 모습. (사진=뉴스1)


“‘오프콘서트 가이드라인 없어대중음악 종사자 눈물

윤 부회장은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에 대한 분명한 매뉴얼이 없다는 점을 큰 문제로 꼽았다.

현재는 음악 축제‧콘서트 등 개최 여부에 관해 정부가 따로 지침을 내리지 않고 민간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 또한 관객 수에 따른 공연 개최 방식에 대한 명확한 기준 역시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 보니 기껏 공연 개최를 위해 준비하다가 나중에서야 중단한 경우가 부지기수다.

윤 부회장은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이유로 공연 개최 가능 여부에 대한 확답을 듣지 못해 공연을 열심히 준비하다 한참 뒤에서야 지자체로부터 개최 불가 통보를 받은 경우가 많아 비용의 소모가 컸다”며 “차라리 처음부터 공연을 하지 말라는 지침이 있는 것이 나았을 지경”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9일 간담회에서 김현환 문체부 콘텐츠정책국장은 “중소기획사들이 공유하면서 온라인 공연을 할 수 있는 시설 마련을 신규 사업 방안으로 모색해보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윤 부회장은 중소 레이블에게 온라인 콘서트는 완전한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형 기획사의 경우 자금력과 막대한 팬덤을 기반으로 온라인 공연을 통해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중소 기획사는 이에 비해 모든 것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는 “자체 플랫폼을 갖춘 SM도 자사 아이돌의 온라인 콘서트에 3만원을 받는데, 신인이나 중소 기획사 가수는 그보다 적게 받는다고 해도 각종 부대비용을 빼면 남는게 없을 것”이라며 “팬덤‧플랫폼 등 어떠한 것도 갖추지 못한 중소 레이블에게는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문체부 관계자는 "현재는 중앙방역대책본부 측에서 제시한 공연장 지침에 따라 오프라인 콘서트가 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대본이 제시한 생활속거리두기 지침 속 '공연장 지침'은 지그재그로 한 칸 띄어앉기·타인과 2m 이상 거리두기 등이다. 개최 등 이외의 판단은 모두 민간에 맡기고 있는 것.

문체부 관계자는 "'관객 몇 명 이상일 경우 공연 개최를 가능케 한다'는 식의 보다 구체적인 세부지침이 필요하다는 일부의 주장이 있다"면서도 "현재까지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업계의 추가적 요구가 있다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냅타임 박지연 기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