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를 위한 뉴스

snaptime logo

“부동산 시장 안정·‘살자리’ 정책 보완 원해요”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정책 이야기가 많지만 제대로 이뤄질지는 솔직히 의문이에요.”

서울에 사는 취업준비생 김형환(29‧남)씨는 이틀 앞으로 다가온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후보들에게 기대감이 높지 않다. 청년 주거환경개선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서울시 청년정책들이 피부에 와 닿지 않아서다.

주거환경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청년정책들도 기준이 까다롭거나 홍보부족으로 실질적으로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도 많다.

 

청년층 “주거정책 보완” 일성

서울에 거주하는 MZ세대들은 청년주거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높다. 하지만 현실은 그들의 기대감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서울 청년 월세 지원 사업은 월세 및 임차보증금을 기준으로 3개 구간으로 나눠 지원대상을 선발한다.

김씨는 임차보증금 5000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에 해당해 제한 인원인 500명 안에 선정돼야 한다. 그는 “기다리고는 있지만 당첨될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고 했다.

조모(25·여)씨는 최근 청년 1인 가구 맞춤형 공공주택에 지원했다. 선발되지는 못했지만 주변인의 이야기를 들으며 정책에 대해 아쉬움을 느꼈다고 전했다.

정책 홍보물에는 청년 1인 가구 맞춤형 공공주택이 주변 시세와 비교했을 때 저렴하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서다.

조씨는 “공공주택보다 월세가 15만원 이상 저렴한 집도 찾아볼 수 있다”며 “선발된 사람도 계약을 체결하고 나서야 방을 볼 수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고 전했다. 이어 “보여주기식이 아닌 현실을 반영한 정책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서울시 청년정책 모르는 경우 많아... 홍보 강화 필요

“집 근처에 무중력지대가 생겼는데 6개월간 어떤 공간인지 몰랐어요.”

권서연(27·여)씨는 서울에서 태어나 27년을 살았다. 그러나 서울시 청년정책에 참여한 경험이 없다. 서울시 청년정책이 어떤 내용인지 잘 몰랐기 때문. 권씨는 서울시 청년정책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씨는 특히 무중력지대가 처음 생겼을 때 어떤 공간인지 전혀 몰랐다고 회상했다. 무중력지대는 서울시에서 청년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한 문화공간이다. 서울 내 홍제·강남 등 8곳이 있고 대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는 “갑자기 생겼고 오랜 기간 건물에도 공고물이 붙지도 않아 몰랐다”며 “주변에 무중력지대에 대해 아는 또래 친구들도 거의 없다. 2030은 SNS를 통해 정보를 얻는데 이런 측면에서 홍보가 부족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2030 유권자들은 서울시 청년정책에 참여해 본 경험이 적고, 정책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하 모(25·여)씨도 서울 토박이지만 서울시 청년정책에 참여해본 경험이 없는 사례다.

그는 “서울시 청년정책에 대한 버스, 지하철 광고도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며 “주변 친구들도 ‘잘 모른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차기 서울시장, 청년들에 실질적 도움되는 정책 펼치길”

MZ세대들은 차기 서울시장이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를 바랐다.

하씨는 “경제적으로 어렵지 않지만 풍족하지도 않은 상황”이라며 “교통비나 자격증 시험 등록비 지원 등 청년들에게 실용적인 정책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대학생 허규빈(25·남)씨도 청년의 사회참여 기회 확대 및 역량 강화 취지의 ‘설자리’ 정책이 보완되길 바란다고 했다.

허씨는 “대학생으로써 설자리 정책에 관심이 가는데 학자금·장학생 지원이 전부인 게 아쉽다”며 “대학생 대외활동 및 동아리 지원 등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직장인 홍승주(27·여)씨는 서울시 청년정책에 관심은 많지만 지원대상이 아니었던 사례다. 홍 씨는 “직장과 집이 왕복 3시간 거리라 독립을 꿈꾸고 있다”면서도 “비싼 월세도 문제지만 여자 혼자 사는 것이 무섭다. 성범죄 방지 강화대책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청년정책 대상 확대해야…홍보 방안 보완도 필요해

김지선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서울청정넷) 공동운영위원장은 서울시 청년들이 청년정책을 실감하기 위해선 규모가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월세 지원사업의 경우 선정 인원이 5000명이라 적은 편”이라며 “마음건강 지원사업도 기존에 예정됐던 사업의 규모보다 축소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하며 정책규모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홍보를 늘리고 청년들이 청년정책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보완하겠다”고 했다.

현재는 서울청년센터 ‘오랑’에서 청년들에게 상담을 진행하고 맞춤형 청년정책을 안내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서울시 청년이라면 누구나 서울청정넷에 직접 들어오셔서 정책을 제안할 수 있다. 청년청 운영지원단에 연락을 주셔도 좋다”고 했다.

 

/스냅타임 권보경 김세은 기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