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
2019년 2월 17일 - 오전 12:20
이거 실화냐, '팩트체크'가 도대체 뭔데?
팩트체크(Factcheck), 말 그대로 사실을 확인하는 일이다. 가짜정보가 경종을 울리고 있는 지금, 거짓과 사실을 정확히 검증하고 바로 잡는다. 사람들을 의심하게 하는 모든 정보는 팩트체크의 대상이 된다. 그렇다면 무엇을, 어떻게 바로 잡나? 팩트체크 인턴이 살펴봤다.
팩트체크 후보군과 아이템 선정
먼저 팩트체크의 후보군을 선별한다. 일반적으로 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가와 근거가 명백한가, 사실이 밝혀진 이후 공익적 가치가 있는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는 전 세계 팩트체크 기관의 연대 기구인 국제팩트체킹네트워크(IFCN)이 제시한 팩트체크의 원칙에 해당하기도 한다.
펙트체크 아이템은 어디에서든 찾을 수 있다. 정치인의 발언부터 생활 정보까지 대상은 어떤 주제든 괜찮다. 청와대 국민청원부터 유튜브(Youtube),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인터넷 각종 커뮤니티에서 만들어진 가짜뉴스도 검증 대상이다. 각종 제보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아이템을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한 아이템을 검증하기 전, 해당 내용의 출처가 어디인지 명백히 파악하는 것은 필수다. 정치인의 발언일 경우 해당 발언을 한 언론사의 발언 기사를 찾아보거나 언제, 어디서 발언을 했는지를 찾아봐야 한다. 최초 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바로 팩트체크의 시작이다.
근거자료 수집과 전문가 의견으로 ‘확인 必’
최초 내용의 진위를 파악한 후, 사실 확인을 위한 근거자료를 수집한다. 근거 자료(사례)나 통계자료 등 사실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자료라면 모두 환영이다. 투철한 자료 검색은 사실에 한발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좋은 발걸음이다.
이와 관련한 전문가 의견도 수집한다. 전문가의 의견은 해당 아이템과 팩트체크 과정에서 기자도 미처 찾지 못한 부분을 짚어줄 수 있는 좋은 씨앗이다.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역할은 덤이다.
기사 작성과 종합 판단 ‘사실VS거짓’
근거자료를 모두 수집하고 나면 이들을 모두 종합해 본격적인 기사 작성에 돌입한다. 육하원칙을 생각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검증 내용과 방식, 종합판단을 명확하게 적어주는 것도 독자의 판단에 기여할 수 있는 팩트체커(Factchecker‧팩트체크를 하는 사람)의 역할이다.
기사를 모두 작성하고 나면 검증 결과를 전혀 사실 아님, 사실, 판단유보를 포함해 총 6가지로 판정할 수 있다. 미국의 폴리티팩트의 ‘진실 검증기’에서 시작한 6가지 지표를 한국의 서울대학교 팩트체크 센터(SNU Factcheck)도 운영모델로 삼아 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