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일명 ‘깔창생리대’ 파동이 발생한 지 5년이 지났지만 일부 여성 청소년들의 생리빈곤 실태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깔창생리대 파문 이후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생리대 보편지급 조례 제정 등을 계획했지만 5년이 지난 지금까지 시행되지 못해서다.
실제로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실에 따르면 대부분의…
"생리대 좀 할인해주세요."
구독자 112만명의 유튜브 채널 달라스튜디오 '네고왕'에서 MC가 "어떤 것을 네고(할인) 받고 싶냐"고 지나가던 시민에게 묻자 돌아온 대답이다.
어느 시민의 말처럼 우리나라 생리대 가격은 비싸다. OECD 국가 중 가격이 가장 높다.
한국소비자원 발표에 따르면 재작년 기준…
댓글 읽는 인턴기자들, 열네 번째 이야기는 김연서 인턴기자의 “생리대 지원은 여성의 권리” 목소리 커져입니다.
생리대 지원을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선별적인 복지로 인해 '수혜자=낙인'이라는 인식을 주기 때문인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가족부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