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는 지난 8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보수 정권 역사가 사라지고, 문재인 정부 위주로 채워지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냈다. 특히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역사가 빠졌다"고 주장하며 "이런 식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만든다면 대한민국의 역사를 다룬 곳이라고 할 수 있겠나"라고 비판했다.…
읽고 싶은 기사를 포털에서 골라보는 시대. 쏙쏙 이해하고 있나요? 항상 세 줄 요약을 찾아 나서는 여러분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진지한 언론의 언어를 지금의 언어로 전하는 뉴스. 밑줄 쫙, 집중하세요!
첫 번째/ 오찬과 책자, 사진
지난 4일 문재인 대통령과 국가유공자 및 보훈 가족들이 청와대에서 오찬을…
최근 페이스북,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2000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 녹취록’이라고 주장하는 사진 자료가 공유됐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당시 북한 국방위원장이 마주 앉아 있는 사진과 함께 몇 줄의 대화가 첨부돼 있었다.
자료에서 주장하는 대화 내용에 따르면 1차 남북정상회담이 진행…
연단 아닌 쇼파 앉아 신년사 발표
金, 인민복 벗고 양복에 넥타이
北 신년사, 경제와 대외 정책 주력에 초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일 신년사를 발표했다. 김 위원장은 2013년부터 매년 육성으로 신년사를 발표해 왔지만 올해 신년사에서는 특히 이례적인 모습이 많이 포착됐다.…
미투부터 남북정상회담까지 종로 고시원 화재 ‘안타까워’ 피씨방 살인사건인 ‘충격적’
다사다난했던 2018년의 마지막 날. 정치, 사회, 연예계 이슈와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군 스포츠까지. 올해의 각종 사건·사고를 20대의 시각으로 스냅타임이 내 마음대로 정리해봤다.
스냅타임 영상!-->!-->!-->!-->!-->!-->!-->!-->!-->…
2018년 북한을 돌아보다①중국과 ‘순망치한’ 미국엔 ‘좌고우면’남북관계 해빙 시작 ‘평창동계올림픽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남북이 동시입장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숨 가쁘게 돌아갔던 한반도 체스판이 잠시 휴식기에 접어든 모양새다. 2018년, 남북 관계는 한편의 블록버스터 영화처럼 긴박하게 움직였다.!-->!-->!-->…
지난 11월 김정은 찬양 단체 등장…게릴라식 확장 나서이적단체 논란 ‘대학생진보연합’ 등 주축돼 대학가 공략
지난 11월 국민주권연대와 한국대학생연합 주최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서울 방문 환영 백두칭송위원회 결성 선포 기자회견'이 열렸다.(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을 환영한다는 목적으로!-->!-->!-->…
2007년 이후 철도 공동조사 첫 진행
北 철도, 속도 느리고 운행도 불규칙
90년대 경제난 후 개발 투자 어려워
낡은 선로 등으로 잦은 탈선사고 발생
남북 철도 공동조사단이 총 18일간의 여정을 시작한다. 북측 철도조사는 지난 2007년 이후 처음이며 분단 이후 동해선에서 우리 측 열차가…
南문배주·두견주…北평양주 테이블 올라
평양냉면 최고 화제…‘냉면 신드롬’ 일으켜
北칠보산 송이버섯, ‘방사능 버섯’ 논란 일어
남북 교류가 활발한 요즘 회담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키워드가 있다. 바로 ‘음식’이다.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여러 차례 남북 교류에서 음식들은 여러 차례…
천안함 폭침 전까지 4.8만t 북에 지원
선물 외교 재개…송이버섯 답례 차원
지난 11~12일 두 차례에 걸쳐 북한으로 제주도 귤 200t이 전달됐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지난 9월 평양 정상회담 당시 북측 선물인 송이버섯 2t에 대한 답례라고 설명했다.
또 최대한 많은 북한 주민에게 제주도…
대동강수산물식당 이용 ·명품백
“일반 북한 시민은 엄두도 못내”
권력·부유층 상징으로 자리 잡아
지난달 19일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평양 대동강수산물 식당을 방문한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속 문 대통령과 인사를 나눈 한 평양 주민은 고가의 명품 브랜드인 샤넬…
남북정상회담 ‘군사 분야 합의서’에 포함된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시범 철수·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북방한계선(NLL) 평화수역 조정을 두고 갑론을박이 뜨겁다. 총을 내려놔야 평화가 온다는 낙관론과 핵보유국에 의해 피 흘린 군인들을 생각하라는 견해가 맞서고 있다.…
평양에서 2박3일간 열린 3차 남북정상회담이 전 세계인의 이목을 끌고 있다. 특히 중국 외신들은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동 선언을 발표하는 순간까지 생중계했다. 평양 특파원을 실시간으로 연결해서 주요 보도로 양쪽의 분위기를 집중적으로 전달했다.
중국 관영매체(CCTV)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면서 통일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3차례에 걸친 정상회담의 효과일까. 통일을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해왔던 20대가 달라지고 있기 때문.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1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실행한 설문조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