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고민과 생각을 함께하는
MZ세대를 위한 뉴스서비스
브라우징 태그

예술

각자 방법으로 이태원참사 추모…공연 무대 애도 붐

공연계가 멈췄다. 이태원참사로 공연이 줄줄이 취소됐다. 국가애도기간은 지난 5일 끝났지만 공연이 재개할 조짐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일각에선 추모를 위해 공연을 취소해야 한다고 하지만 공연계는 “공연장으로 출근한다고 우리의 애도가 끝난 건 아니다”라며 반발한다. ◇ 애도기간이 끝났는데 공연 재개는…

낙서로 그려낸 인간愛…’포커스 아프리카’ 방문기[上]

아프리카에는 한국에 없는 것이 있다. '천천히'를 뜻하는 'Pole Pole(폴레폴레)' 정신이다. '빨리빨리'를 달고 사는 한국인으로서는 생소하게 느껴진다. 그만큼 그들의 미술도 낯설다. ‘Pole Pole’은 아프리카 미술에서 ‘느림의 미학’으로 나타난다. 예술에 조예가 전혀 없더라도, 그 특별한 여유로움은…

[밑줄 쫙!]전시 중단된 평화의 소녀상…자유롭지 못한 ‘자유’ 국가

읽고 싶은 기사를 포털에서 골라보는 시대. 쏙쏙 이해하고 있나요? 항상 요약을 찾아 나서는 2030 세대를 위해 준비했습니다. 어제의 뉴스를 지금의 언어로 쉽게 전하는 시간. 밑줄 쫙, 집중하세요! 첫 번째/ 자유롭지 못한 ‘자유’ 국가 소녀상 빼세요! (‘왜’요?) 위험하니까 그냥 빼세요! ◆…

남자 연예인의 사생활 문제… 무엇이 원인일까?

하트시그널에서 여자 출연자와의 대화 화제 지난달 30일 MBN에서 뮤지컬 배우 강성욱 씨가 강간 치상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고 보도했다. 강 씨는 피해 여성이 ‘꽃뱀’이라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피해자의 진술이 일관되고 피해자가 사건 뒤 강씨에게 돈을 뜯어내려 한 정황이…

다 봤는감? 2018 이슈 픽!

미투부터 남북정상회담까지 종로 고시원 화재 ‘안타까워’ 피씨방 살인사건인 ‘충격적’ 다사다난했던 2018년의 마지막 날. 정치, 사회, 연예계 이슈와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군 스포츠까지. 올해의 각종 사건·사고를 20대의 시각으로 스냅타임이 내 마음대로 정리해봤다. 스냅타임 영상

“20대를 Capture 했습니다”

 전시공간 ‘낯선’서 첫 개인展 연 김삼다 작가 ‘에브리타임·소셜미디어·트위터’ 등 20代 커뮤니티 소재 삼아 재구성 “오타쿠 문화부터 조울증 현상까지 제 얘기지만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20대가 공감할 만한 이야기를 작품 속에 투영하려고 했죠. 20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고 사용하는 온라인…

“예술을 사랑한다면 WE ART PARTY로”

양기표 ‘위 아트 파티’ 파티 주최자 전시부터 합주 공간까지…“파티와 예술 공존” 자유로운 스탠딩 파티로 청년 소통 방법 찾아 “안 와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온 사람 없어” 파티에서 만난 아티스트…컬래버 활동 이어져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그냥 지금 재밌으니까 하는 거예요. 재밌게…

한류 타고 ‘K 타투’ 훨훨…국내 현실은 ‘암울’

실력 인정받아 해외에서 공동작업 의뢰 러브콜 정교함과 재능을 갖춘 타투이스트 2만명 ‘시대’ “예술로 인정받았으면”…합법화로 체계적 관리 스냅타임은 지난달 21일 ‘시선바뀌는타투’ 기획시리즈를 연재하면서 한국의 타투 시장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우리 사회에서 타투를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실습실에 벌레와 쥐가 돌아다녀요”

 홍대 미술대학 실습실 가보니 먼지로 가득한 공간 숨쉬기도 힘들어…환기 시설 없어 학교 측 “개선하고 있다”…학생들 “바뀐 것 없다” 비판 협소한 공간 탓에 “개인당 0.3평서 작업한다” 통계까지 지난해 10월 홍익대 미술대학 재학생들의 열악한 실습실 사진이 언론을 통해 공개됐다.…

“사진으로 강인한 여성 전달하고 싶어”

페미니즘 예술가 이나연씨 “사진 통해 여성 억압을 표현” “페미니즘 접하며 새로운 인생…작품활동으로 의지 전달” “누드사진은 가부장적 사회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의미해” “억압트라우마 겪는 사람에게 극복과 희망 메시지 주고파” “X팔리니까 그만 해라.” 주한 프랑스 대사관 앞에서 한 여성이…

“뜨거울 때 꽃이 핀다”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작품을 보고 있으니 안도현의 시가 자연스레 떠올랐다. 설치미술가 이효열(32) 씨는 ‘연탄도 타고 남은 재로 생을 마감하는데, 나는 나를 위해 이렇게 뜨거운 적이 있었나?’하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부끄러웠다. 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