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A씨는 지난해 말 방을 빼기 위해 부동산 중개인에게 집 비밀번호를 알려줬다. 본가에 내려가 있는 기간 동안 방을 보여줘야 한다며 중개인이 알려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서울에 올라온 후 집에서 자고 있던 중 갑자기 비밀번호를 누르고 다짜고짜 중개인이 들어와 깜짝 놀랐다. 방을 보러 가겠다는 연락에 답장이 없자…
'트리마제 OOO' '한남더힐 OOO' '시그니엘 OOO'
최근 10~20대 사이에서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프로필에 고급 브랜드 아파트명을 기재해 두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문화를 '신(新) 카스트제'에 빗대고 있다.
"유행이라 따라했을 뿐"...실…
올해 노량진 역세권 청년주택에 당첨된 박정빈(28·남)씨. 운좋게 특별공급 청약에 당첨됐다는 기쁨도 잠시, 계약을 위해 방문한 집에서 박씨는 할 말을 잃었다. 공간이 너무 비좁았기 때문이다.
특히 화장실은 그 크기가 너무 협소해 제대로된 샤워조차 할 수 없어 보였다. 박씨는 "방도 너무 좁지만 그보다 화장실이…
요즘 1인 가구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혼자 살기에 원룸과 오피스텔은 월세가 부담스럽고, 가격이 싼 고시원은 열악한 환경 탓에 쉽사리 선택하기 어렵다.
취업난뿐 아니라 주거환경에도 걱정이 많은 2030 세대. 임금 인상보다 가파른 서울 집값 상승에 내 집 마련은 고사하고 남의 집에 잠시 거주하는 것조차 힘든…
공유경제 시대가 도래했다. 사람들은 차를 사는 대신 ‘쏘카’를 이용해 차량을 공유한다. 택시가 승차난을 해결할 수 없자 ‘타다’, ‘카카오카풀’이 승차공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나선다. 에어비앤비, 스페이스클라우드 등 공간을 공유하는 서비스 또한 등장한 지 오래다. 여러 가지 애로사항은 존재하지만, 변화는 여전히 일어나고…
경제가 발달할수록 개인주의가 발달했습니다. 주거에서도 사적인 공간의 수요가 늘어났죠.
문제는 사적인 공간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지만 공간적 제한으로 그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결혼 전의 사람들은 친구를 편하게 집으로 불러오기 힘들고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자기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