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어가 넘쳐나는 지금 “맞춤법이 뭐 그리 중요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알바몬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여대생 10명 중 9명은 맞춤법을 틀리는 남성에게 실망한다고 했다. 남성 역시 10명 중 8명은 맞춤법을 틀리는 여성에 대한 호감이 줄어든다고 답했다.
취업을 준비하는 20대라면 맞춤법은 더 중요하다. 기본적인 맞춤법이 틀린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를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이 좋은 시선으로 바라볼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련했다. 평소에도 자주 사용하고, 자기소개서에서도 한 번은 등장할 법한 틀리기 쉬운 맞춤법.

그녀는 왜 화가 났을까
대화 속 ‘선배’는 소개팅 주선자인 후배가 왜 화가 났는지 어리둥절할 것이다. 아마 한동안 모를 가능성이 크다. 그의 머릿속에는 문안하다가 틀린 말이라는 인식 자체가 없을테니 말이다.
많이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로 항상 이름을 올리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고 있는 단어.
무난하다, 문안하다
- 무난하다=이렇다 할 단점이나 흠 잡을 것이 없다
- 문안하다=웃어른께 안부를 여쭈다
위와 같은 경우라면 문안하다가 아닌 무난하다를 써야 한다. 무려 3번이나 틀리다보니 소개팅 주선자로서는 장난한다는 마음이 들 수도 있을 정도.
자기소개서에도 주의하자. ‘저는 성격이 문안해서’라고 쓰는 순간, 당신의 자기소개서는 ‘불합격’ 더미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