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고민과 생각을 함께하는
MZ세대를 위한 뉴스서비스

‘男직장인 반바지’ 나만 불편해?

윗사람 "예의 없다"지적에…장마·폭염에도 긴바지 'NO'

(이미지=이미지투데이)

작년 여름 직장인 김광렬(24·남) 씨는 장마와 태풍이 함께 온다는 소식에 반바지를 입고 출근했다. 그러나 지하철·버스·회사 어디에서도 자신과 비슷한 복장의 남자 직원을 보지 못했다. ‘회사에서 분명 자율 복장이라고 했는데…’ 김 씨는 의아했다.

평소와 다르게 회사 사람들의 시선이 굉장히 따갑게 느껴졌지만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일에 집중했다. 그러나 점심시간이 되자 부장이 그를 불러 말했다.

“아무리 자율 복장이지만 예의라는 게 있지 않나. 정신 차리자 광렬아.”

(이미지=이미지투데이)

남자직원에게 ‘긴바지’ 왜 강요하세요?

“반바지 외않되?”

다음날 김 씨의 길고 두꺼운 정장 바지는 거센 비로 인해 흠뻑 젖었다. 찝찝함 때문에 그날 일과를 제대로 마치지 못했지만, 오히려 부장은 “다리털도 안 보이고 깔끔하고 아주 보기 좋다. 아무리 그래도 반바지를 입는 것은 회사를 무시하는 거야”하고 얘기했다.

그러나 주위 여자 동료들은 반바지·치마·원피스·샌들 다양하게 옷을 입고 있었다. 시쳇말로 ‘외않되?’하는 말처럼 부장의 말은 다 틀린 것 같지만 일개 신입은 따를 수밖에 없다.

(이미지=이미지투데이)

장마나 폭염 때라도

김 씨의 소원은 출근길에 바지에 체인을 두르거나 반지를 열두어 개쯤 끼는 것이 아니다. 땀에 흠뻑 젖은 와이셔츠를 입거나 비에 젖은 양말을 신고 일을 하고 싶지 않다. 직장 상사가 보기 편하기 위해 반바지를 못 입는 것이라면 따르고 싶지 않다.

“회사가 일하는 곳이지 눈치 보는 곳이 아니잖아요. 그리고 여 직원은 되는데 남 직원은 안된다는 게 이상하죠. 적어도 날씨가 안 좋을 때는 허용해주길 바라요.”

다리털이 보기 싫다면 제모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이미지=이미지투데이)

기성세대는 오늘도 ‘반바지 출근러’가 불편하다. 본인 스스로 ‘남자가 무슨 회사에서 반바지야’하고 구속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김 씨는 출근 복장을 TPO(때(Time), 장소(Place), 상황(Occasion))에 맞추고 싶다. ‘추울 때는 두껍게’ ‘더울 때는 얇게’ ‘내근 때는 편하게’ ‘외근 때는 깔끔하게’ 상황에 맞춰 옷을 고르는 것이 일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회사를 만만하게 보는 것이 아니다. 와이셔츠가 ‘겨땀(겨드랑이 땀)’에 젖어 팔을 드는 것이 두려울 뿐이다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