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고민과 생각을 함께하는
MZ세대를 위한 뉴스서비스
월간 자료실

7월 2018

꼰대 사용설명서 – “휴가 편하게 써요”

#상사부터 선배까지 휴가 다 써야 내 차례 올해 9일의 여름휴가를 떠나는 김혜리(31·여)씨는 지금의 직장으로 옮긴 후에야 휴가다운 휴가를 떠난다. 이전 회사에서 김씨는 9일은커녕 법정 휴가도 제대로 못 썼다. 회사에 입사한 첫해 그는 "'휴가 편하게 쓰라'는 말을 듣고 휴가 결재를 받으려고 했다.…

‘액자의 힘’… 내 집이 달라졌어요

누구나 할 수 있는 셀프인테리어 3탄. 액자로 거실 꾸미기. 이번엔 집안 분위기를 간편하게 바꿀 수 있다는 아이템인 액자를 선택했다. 액자는 자취생은 물론 직장인도 쉽게 꾸밀 수 있다는 데 장점이 있다. 새 벽지로 집안 전체 분위기를 바꿀 수도 있지만 시간과 품이 많이 든다. 셀프인테리어들은 액자를…

술 마시면 과식하게 되나?

술을 마시는 날에는 평소보다 더 많은 음식을 먹는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들지 않나요. 정말 술을 마시면 더 많은 음식을 먹게 될까요. 미국 알코올남용 및 중독연구소의 연구 결과 술을 마신 날…

국내 생리대, 해외 생리대보다 비쌀까?

툭하면 논란의 중심에 서는 생리대. 지난 2016년에는 깔창 생리대 사건으로, 지난 해에는 발암 생리대 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최근에는 생리대의 가격이 문제가 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됐는데요. 국내 생리대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은…

꼰대 사용설명서 – “생각을 말해봐요”

27살 사회 초년생 시절 임선근(가명·35)씨는 광고 시안을 두고 상사가 "어떤 것이 좋은지 자유롭게 말해봐요"라고 물었을 때가 생생하다. 꼰대의 특성에 대해 조금도 몰랐던 그 시절. "선근씨 생각은 어때요? 나는 A안이 좋은 것 같은데 젊은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네요." "이건 어때요?…

휴게·근로시간 명확히? 근로계약서 꼭 써야

강혜영(22·가명)씨는 지난해 열린 한 전시회에서 가이드로 한 달 간 일을 했지만 임금을 받지 못했다. 전전긍긍하던 강씨는 올해 초 고용노동청에 신고를 하면서 체불된 임금을 돌려받을 수 있었다. 박희진(22·가명)씨는 올해 초 프랜차이즈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지만, 점주가 쉬는 시간을 단 10분도 주지 않았다.…

장식품? 디퓨저·블루투스 스피커로도 충분

누구나 할 수 있는 셀프인테리어 4탄. 간단한 소품으로 실내 꾸미기. 이번엔 품 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집안을 꾸밀 수 있는 소품을 사용해봤다. 바로 디퓨저와 블루투스 스피커, 소형 장식품이다. 먼저 디퓨저는 실내에 향기를 퍼지게 하는 인테리어 소품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제품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돼 장식품 역할도…

20대의 동거, 어디까지 아니?

동거는 부끄러운 일? "사랑하는 사람과 좀 살아보면 어때서." 동거에 대한 20대의 인식이 바뀌고 있다. 여전히 사회에서는 동거가 성(性)의식을 가진 사람들만 한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지만, 동거의 필요성이나 장점에 대한 목소리도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1인 미디어, 처음엔 가볍게 시작하세요”

유명 1인 미디어 '쥐픽쳐스'의 존엄이라 불리는 국범근(21)씨. 그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소설을 써서 친구들에게 주목 받는 것을 좋아하던 평범한 고등학생이었다. 그런 그가 범근뉴스를 만들어 남들과 다른 길을 걷고 있다. 범근뉴스는 세상일에 큰 관심이 없는 십말이초(국범근이 10대 후반~20대…

한국에 트램이 다시 생긴다?

전 세계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트램이 국내에도 나타날 전망이다. 광역자치단체 5곳에서 총 16개의 트램을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국내의 교통수단은 현재 버스와 지하철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대부분 계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등이 사용하기에 어렵다. 20대인…

행복 위해 자발적 ‘푸어’ 된 20대

그렇다. 26세 젊은 나이에 고가의 자동차인 'BMW 520d'를 소유한 최진용(26·남)씨는 실제로 카푸어(Car poor)다. 월 260만원을 벌지만 그중 170만원이 찻값으로 빠져나간다. 이 외에 자취방 비용 등을 빼면 약 월 40만원정도 수중에 남는다. “네, 저 ‘카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