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를 위한 뉴스

snaptime logo

"반려견 훈련보다 반려인 교육이 더 시급하지 않을까요?"

(이미지=이미지투데이)


“TV나 인터넷에서 귀엽고 애교 부리는 강아지들만 보다가 막상 입양 후 적응이 필요해 밥도 잘 안 먹고 배변도 잘 못 가리고 우울해서 잠만 자는 강아지 모습을 보고 실망해서 파양하는 반려인들이 많더라고요. 개도 사람과 똑같아서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걸 그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으니까 아무것도 모르고 쉽게 파양하고, 유기하고 그런 것 같아요.”

반려인과 함께 살고 있는 박장국(가명·31) 씨는 반려동물 입양 전 아무런 자격요건이나 교육이 없는 것이 쉬운 파양과 유기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반려동물 입양 전 사전 교육과 절차가 까다로워져도 반려인으로서 괜찮겠느냐는 질문에 “괜찮은 게 아니라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지난 2월, 강원도 강릉에서 한 반려인이 생후 3개월 된 말티즈가 식분증(배설물을 먹는 증상) 증세를 보인다는 이유로 파양을 요구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자 반려견을 집어던져 사망하게 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큰 논란이 됐고, 이후 동물권을 고려해 파양, 유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 입양 전 사전 교육과 자격 요건 확인 등 입양 절차와 제도를 가다듬어야 한다고 반려인들과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반려인 4명 중 1명 사전 준비, 교육 없이 입양

서울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인구 중 사육지식을 습득하지 않고 입양을 한 경우가 전체의 24%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4명 중 1명은 사전에 준비나 교육 없이 반려동물을 입양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들 응답자들 중 반려동물을 기르다 이들을 유기해야겠다는 충동을 느낀 적 있다고 응답한 경우도 42.6%로 절반에 가까웠다.

반려견과 함께 생활하는 이정국(가명·31) 씨는 “반려견 훈련소 같은 곳은 많이 봤지만, 반려인 교육을 해주는 곳은 보지 못한 것 같다”며 동물보다 사람을 교육하는 것이 더 급선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 씨는 “배변 때문에 반려인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많은데 사실 제대로 된 지식을 알고 있으면 배변 습관도 제대로 들일 수 있다”며 “음식 같은 경우도 반려인이 제대로 된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건강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낮아진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 씨는 “그럼에도 아무도 이런 지식을 체계적으로 알려주지 않는다”며 본인 역시 어디서 교육을 실시하는지 알지 못해 입양 전 사전 교육 같은 건 받을 수 없었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또 “인터넷 커뮤니티로 정보들을 접했지만, 가짜정보가 너무 많아 일일이 강아지를 대상으로 시험해볼 수도 없고 위험할까 봐 맘을 졸였다”라고 말했다.

(이미지=이미지투데이)


반려견 한 마리와 반려묘 세 마리와 함께 살고 있다고 밝힌 닉네임 김몽실 씨는 “동물들은 물건이 아니라 생명이기 때문에 입양을 시도해보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해외의 경우 반려인의 자격 요건이 까다롭거나, 사전 교육을 철저하게 진행해 동물을 생명으로 존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부분을 배워야 유기나 학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씨는 “과태료 수준에 머물고 있는 현행 제도를 엄격한 처벌로 바꿔야만 한다”라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에도 유기 및 학대를 방지하기 위해 반려동물등록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서울연구원의 발표의 따르면 2016년까지 반려견 등록률은 절반을 밑돌고 있다. 미등록 사유로는 “등록방법 및 절차가 복잡해서”가 51.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필요성을 못 느껴서”가 31.8%, “등록 제도를 알지 못해서”가 12.1%로 뒤를 이었다.

(사진=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 캡쳐)


전문가, 사전 교육과 생명 존중 인식 병행해야

이혜원 건국대 동물복지연구소 박사는 먼저 입양 전 반려인 교육이 유기와 학대를 줄이는데 확실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박사는 “개에 대한 기본적인 습성, 본성 등을 이해하고 키우면 개들이 문제 행동을 했을 때 왜 그렇게 행동을 하는지 기본적인 이해는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이 박사는 “개나 동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많다고 해서 유기 행동을 안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기초적인 사전 교육과 함께 동물을 생명으로 존중하는 인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공유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 박사는 “어렸을 때부터 생명 존중을 가르친다면 지금처럼 유기나 학대가 많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 박사는 “우리나라는 사실상 처벌이 너무 약한 상황”이라며 “처벌을 강화하는 등 유기 행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가 확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또 “우리나라는 동물을 너무 쉽게 입양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동적으로 이뤄지다보니 쉽게 버리는 행동 또한 가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 박사는 “돈만 있으면 생명을 쉽게 살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생명에 대한 책임감이 부족한 것 같다”라고 안타까움을 표명했다. 또 “동물을 키우기 전에는 동물이 죽기 전까지 책임을 질 것이라는 다짐이 확실한 채로 동물을 입양해야 한다”라고 입양을 고민 중인 반려인들에게 조언했다.

서울시, 반려동물 입양 수업 등 동물권 위해 나서

서울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은 반려인들을 위한 입양 전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한다.  서울시가 지난 2017년 개설한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에서는 매주 토요일 오후 2시에 '동물권행동 카라'에 위탁해 반려동물 입양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미취학아동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도  ‘찾아가는 동물보호교육’을 실시하는 등 입양 교육 대상을 더욱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동물 정책을 마련하는데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동물정책청년넷, 동물보호시민봉사단 역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유기동물의 응급 치료를 위해 ‘유기동물 응급구조기관’을 지정(올해 서울대 수의과대학)해 24시간 운영으로 유기 동물들의 생존력을 높일 예정이다. 3월말부터는 서울시동물보호센터에서 유기견을 입양하면 입양인에게  동물보험 납입료를 1년간 지원해 유기동물 입양 역시 활성화할 방침이다.

/스냅타임

[김정은, 정성광 인턴기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