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를 위한 뉴스

snaptime logo

PC 게임도 스트리밍으로...구글 스태디아 정착 가능할까

선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현지 시간으로 지난달 19일 스태디아라는 이름의 새로운 비디오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를 발표했다. (사진=로이터)


"고성능 게임을 즐기기 위해 100만원을 호가하는 부품으로 컴퓨터를 싹 바꾸던 모습이 사라지게 될지도 모른다."

구글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지난달 19일 '스태디아(Stadia)'라는 게임 플랫폼을 발표했다. 선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는 게임개발자컨퍼런스에 참여해 “고사양 게임에 대한 장벽을 허물고 싶다”며 스태디아를 소개했다. 이윽고 관객들의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스태디아는 구글 크롬 브라우저와 유튜브를 통해 작동하는 비디오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다. 유튜브 재생이 가능한 기기라면 PC, 스마트폰, TV 가릴 것 없이 모두 고사양 컴퓨터 게임들을 즐길 수 있다. 이는 넷플릭스 영상을 별다른 구동 없이 스트리밍으로 시청하는 것과 같은 구조다.

구글 '스태디아'로 게임을 실행한 모습. 유튜브 접속만 가능하다면 컴퓨터, 스마트폰에 상관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사진=구글 유튜브 채널 갈무리)


게임을 구동하기 위한 고사양 컴퓨터는 구글에서 서버로 제공하고, 이용자는 스트리밍으로 게임을 즐기기만 하면 된다. 유저의 마우스와 키보드 조작은 즉시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는 조작이 적용된 게임 화면을 다시 유저에게 보내준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스트리밍을 주고받을 수 있는 수준의 디바이스뿐이다. 구글은 유튜브에서 4K 영상을 서비스하던 경험을 토대로 올해 안에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이 발표는 사실상 구글이 게임 시장에 주체적으로 뛰어들겠다는 선언과 같았다. 발표를 접한 전 세계 게임 팬들은 새로운 게임 시장의 등장에 열광했다. 그러나 동시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가장 큰 장점…고사양 중심 구조 파괴

스태디아의 장점은 앞서 말했던 고사양 중심 구조의 파괴다. 고사양 서버에서 게임을 대신 구동해주기 때문에 이용자는 적당한 PC와 스마트폰 등만 있으면 된다.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스트리밍 덕에 게임을 설치하거나 다운로드 할 시간도 아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용자의 컴퓨터 용량도 차지하지 않는다. 유튜브와 연계된 서비스이기 때문에 스트리머가 인터넷 방송하고 있는 게임이 재미있어 보인다면, 클릭 몇 번만으로 함께 즐길 수 있다.

스태디아는 이용자들의 편의는 물론 개발자에게 가져다주는 장점도 많다. (사진=구글 유튜브 채널 갈무리)


물론 개발사 입장에서도 장점이 많다. 가장 큰 장점은 개발 환경의 통일성이다. 지금까지 게임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윈도우, 맥 같은 운영체제와 이용자들의 컴퓨터 환경을 일일이 고려해야만 했다. 많은 조사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구동 되어야만 ‘호환성 좋은 게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스태디아 전용 게임들은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구글의 서버 환경만 파악하면 끝난다. 게임은 유튜브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네티즌들은 이러한 스태디아 게임 환경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개발비 절감과 동시에 게임 가격이 인하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외국에 위치한 서버…속도 극복이 관건

이용자들이 우려하고 있는 것은 전송 속도다. 이용자의 조작 신호를 서버로 보내고 다시 화면을 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원활한 속도가 기반이 되어야만 한다. 적을 발견하고 순식간에 방아쇠를 당겨야 하는 FPS 게임의 경우 반응속도가 가장 큰 관건이다.

필 해리슨 스태디아 대표에 따르면 1080p 화면에서 60프레임 기준으로 게임을 즐기려면 25Mbps의 속도가 필요하다. 한국의 인터넷 평균 속도는 지난 2017년 기준 28.6Mbps였기 때문에 속도 자체는 문제 될 여지가 적은 편이다.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특성 상 전송 속도와 지연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사진=구글 유튜브 채널 갈무리)


그러나 스태디아 서버가 해외에 있다면 한국에서 주고받는 반응 속도는 느릴 수밖에 없다. 이는 현재 미국에 서버를 둔 게임들의 핑(Ping)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버가 해외 멀리 있을수록 네트워크를 주고받는 기준인 핑의 속도가 급격하게 느려진다. 기존 게임들은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어느 정도 속도 문제를 해결했지만, 아예 구동 서버가 다른 곳에 있는 스태디아는 문제에 속도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구글은 지난 9일 “2020년 서울에 클라우드 리전(Region)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리전은 구글의 데이터센터로 현재 일본 도쿄, 홍콩, 영국 런던 등 세계 주요국에 설립되어 있다. 한국 리전이 스태디아 서버를 본격적으로 지원한다면 전송 속도 지연 문제는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용자 만족할 수 있는 게임 나와야

스태디아와 유사한 서비스는 앞서 몇 차례 있었다. 그래픽 카드로 유명한 엔비디아(NVIDIA)도 게임 스트림(Gamestream)이라는 기능을 통해 스태디아와 비슷한 구조를 재현했다. 하지만 이는 고사양 PC에서 게임을 구동시키고 저사양 PC에서 원격으로 게임을 하는 구조였다. 기업에서 게임을 대신 구동해주는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국내 기업인 LG유플러스에서도 비슷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했다. 지난 2012년 ‘C-games'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이 서비스는 스태디아처럼 게임을 대신 구동해주는 구조였다. 그러나 전송 속도에서 지연이 많이 발생하고, 유저들을 매료시킬 수 있는 게임이 부족해 실패로 끝났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19 게임개발자컨퍼런스에서 참석자들이 스태디아 게임 플랫폼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AFP)


속도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게임의 질이다. 이미 게임 판매처로 움직이고 있는 구글의 명성에 비춰보면 전망은 나쁘지 않다. 스태디아 발표와 함께 유명 게임인 ‘둠’과 ‘어쌔신 크리드’의 출시도 예정 중에 있다. 본격적인 서비스 개시 후 어떤 게임 타이틀로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스냅타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