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고민과 생각을 함께하는
MZ세대를 위한 뉴스서비스

“화장을 안하면 왕따가 된다”…유튜브가 범인?

화장하기 좋은 나이 8살?
대한민국에 몰아친 키즈 뷰티
“아이들의 자율성 인정”vs“화장은 어른 돼서”

초등학생 아이들의 짙은 화장이 개인의 피부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집단따돌림으로까지 이어지는 등 사회문제로 비화할 조짐이다. 특히 유튜브에 ‘키즈 뷰티’를 주제로 한 채널이 인기를 얻으면서 이같은 현상이 심화하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어린 자녀들의 짙은 화장을 무조건 금지하기보다는 부모들이 진정한 아름다움의 가치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키즈뷰티산업 급성장…온라인쇼핑몰 매출 1년새 370%↑

초등학생 등 어린아이들의 화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산업 규모도 커지고 있다. 지난 2017년 녹색소비자연대의 ‘어린이·청소년 화장품 사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색조화장을 하는 초등학생의 비율은 42.7%를 기록했다. 이 중 색조 화장을 주 1회 이상 한다고 대답한 비율은 50.5%로 응답자의 절반이 넘었다.

이에 따라 관련산업 규모도 커지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11번가’에 따르면 지난해 어린이 화장품의 거래액은 전년 대비 370%나 증가했다. ‘옥션’에서도 지난해 유아용 메이크업 용품 매출이 전년대비 2배 가까이 뛰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키즈 메이크업 시장을 두고 “아이의 안전을 우려하고 또래집단으로부터 배제를 걱정하는 부모의 불안을 이용한 산업”이라고 비판한다. 자녀의 화장을 막을 수 없다면 제대로 해주자는 심리를 자극했다는 논리다. 반면 화장하고 싶어 하는 아이들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피부트러블만 문제? ‘왕따’까지 이어져

전문가들은 어린 나이부터 화장을 시작하면 성장기 피부 부작용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는다. 또 어릴 때부터 습관적인 화장에 노출될 경우, 외모지상주의나 외모강박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아이들은 ‘여성은 예뻐야 한다’,‘예뻐지려면 화장을 해야 한다’와 같은 고정관념에 사로잡히는 것에서 모자라 사고력 및 창의력 향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이들 사이에 화장이 하나의 놀이문화로 자리매김하면서 화장을 안하면 왕따까지 당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초등학교 4학년 딸을 키우는 김미선(37,가명)씨는 “같은 반 아이들이 다 화장을 한 대요. 엄마로서 걱정되니까 화장을 반대했었는데 아이가 화장을 안 해서 친구들 사이에서 왕따가 된 것 같다고 말하더군요”라고 전했다.

이어 “초등학생 때부터 색조 화장을 시작하면 피부에 안 좋을 텐데 무조건 막을 수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복잡한 심경을 토로했다.

(사진=Youtube 캡쳐)

유튜브가 초등학생 화장 부추겨

뷰티관련 유튜버들이 영상을 통해 화장법을 공유하는 등 아이들의 세계에선 이 모든 것이 ‘당연한 일’이 되어버렸다.

성인 여자가 신어도 아픈 구두를 신고, 귀걸이뿐만 아니라 짙은 화장을 한 어린이 모델의 모습은 어른들의 눈에도 예쁘게 보이지만은 않는다.

전문가들은 키즈 뷰티 유튜버나 키즈 모델의 확산, 화장하는 어린이들을 상품화 하는 현상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 박지은 기자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