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를 위한 뉴스

snaptime logo

30대 초반 ‘보수화’ 40대 후반 ‘진보화’...20대도 엇갈렸다

[이데일리 장시온 인턴기자] 지난 2017년 대선 이후 5년간 30대 초반이 가장 보수화되고 40대 후반은 전 연령층에서 유일하게 진보 성향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스냅타임)


 

30대 초반 보수화 경향 '뚜렷'...40대 후반만 진보 성향 유지

지난 6월 발표된 서울대 국제대학원 한정훈 교수의 '한국 청년층의 보수화' 논문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보수 성향이 가장 뚜렷하게 강해진 세대는 2022년 현재 30세부터 34세에 해당하는 1988년~1992년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교수는 지난 2012년, 2017년, 2022년 대선 당시 진행된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이러한 결론을 도출했다.

1988~1992년생(30대 초반)은 지난 2017년 대선에 비해 양극단을 제외한 중간값(0에 가까울수록 진보 성향이 강함을 의미)의 50%가 2022년 대선과 전혀 겹치지 않을 정도로 보수 성향이 강해졌다. 2017년 대선 당시 4에 가까웠던 중간값은 2022년 대선에서 6까지 증가했다.

상자(box)로 표시된 부분은 이념성향 지수의 하위 25%부터 상위 75%까지의 분포를 보여준다. 왼쪽 빨간 표시 30대 초반/오른쪽 빨간 표시 40대 후반. (사진=한국 청년층의 보수화: 한정훈 교수)


 

40대 초반 이하 연령층이 모두 지난 5년간 보수화된 가운데 40대 후반만 유일하게 진보 성향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도 주목된다.

촛불집회와 대통령 탄핵 등의 영향으로 전체적인 진보 성향의 강화와 보수 성향의 위축이 이루어진 가운데 치러진 2017년 대선 이후 현재 44세에 해당하는 1978년 이후 출생한 연령층(20세~44세) 모두 보수 성향이 강해졌다.

하지만 1973~1977년 출생자(40대 후반)만 유일하게 정치 성향 변화가 없었다. 40대 후반의 정치 성향은 지난 대선과 올해 대선 모두 중간값 4를 나타내 진보 우위였다.

이는 전 연령대 통틀어 가장 진보적인 중간값으로 앞뒤 연령층인 40대 초반과 50대 초반의 중간값 5보다 높아 40대 후반의 정치적 성향이 유의미하게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보수화는 섣부른 판단...초반 보수후반 진보

20대 후반의 진보 성향이 청년층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주목된다.

2022년 대선에서 1998년 이후 출생자(20대 초반)의 정치 성향 중간값은 6으로 나타나 30대 초반과 같았다. 이는 60대 이상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치다.

고령층을 제외하면 20대 초반과 30대 초반이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것이다.

반면 1993~1997년생(20대 후반)의 정치 성향 중간값은 5에 가까워 앞뒤 연령층(20대 초반, 30대 초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했다.

 

2030 10명 중 7대북정책 강경해야

2030 안에서도 연령대별 정치 성향이 다소 상이한 가운데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청년층이 전반적으로 공통된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1988~1992년 출생자(30대 초반)는 지난 2012년 강경 정책 선호에서 2017년 협력 정책 선호로 변화했다가 2022년 다시 74% 강경 정책 선호로 돌아섰다.

1993년~1997년 출생자(20대 후반)는 2017년부터 2022년 두 차례 대선에서 일관적으로 강경 정책을 선호했다. 1998년 이후 출생자(20대 초반)도 2022년 69%가 강경 정책을 선호했다.

x축은 대북정책에 대하여 ‘강경’ 또는 ‘협력’ 정책에 대한 선호로 구분되어 있으며, y축은 각 연령집단 내 각각의 선호를 지닌 응답자 비율을 보여준다.(사진=한국 청년층의 보수화:한정훈 교수)


 

2010년대 연평도 포격 도발, 목함지뢰 도발, 연락사무소 폭파 등 북한의 무력도발을 군 복무 중 겪은 2030 남성의 대북 인식 악화와 더불어 북한 인권 문제와 세습 체제에 대한 성별 무관 청년층의 전반적인 부정적 인식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문재인 정부 당시의 대북 협력 정책에도 불구하고 제자리걸음인 남북관계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1988~1992년생의 경우 지난 2017년과 비교해 30%p 가까운 차이가 발생해 장기적으로 청년층의 대북 인식이 강경 정책 선호로 굳어질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mz세대 일반화는 위험하다

34세 이하 청년층 내부에서도 이질성이 발견돼 소위 말하는 mz세대에 대한 일반화는 위험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정훈 교수는 논문에서 “34세 이전의 청년층 내부에서도 1988년부터 1992년 출생 세대와 1993년부터 1997년 출생 세대 및 1998년 이후 출생 세대 간 동질성이 높지는 않았다”면서 “mz세대 등 오늘날 한국 사회 내 체계적인 세대 분석에 근거하지 않는 논의들은 청년층의 내적 이질성으로 인해 타당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주장했다.

논문에 따르면 2022년 1998년 이후 출생자(20대 초반)의 56%가 성장보다 복지를 우선해야 한다고 답한 반면 1993년~1997년생(20대 후반), 1988~1992년생(30대 초반)은 각각 54%, 56%가 복지보다 성장을 우선해야 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20대 후반은 진보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함에도 성장을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아 청년층이 전반적으로 탈이념적이며 사안에 따라 다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볼 여지도 있다.

한 교수는 “하나의 세대는 자신들이 역사 과정에서 경험한 구체적 정치, 사회 인식을 통해 다른 세대와는 차별적이며 장기간에 걸쳐 유사한 정치적 행태를 공유한다”면서 “한국전쟁, 산업화, 민주화와 같은 굵직한 역사적 전환점이 세대 구분의 중요한 기준이었던 반면, 민주화 이후 과거에는 예상치 못했던 빠른 속도의 변화를 수반하는 사회 환경으로부터 독립적인 새로운 세대의 구분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다”라고 설명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