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를 위한 뉴스

snaptime logo

尹정부 청년지원 예산, ‘일자리’ 줄고 ‘현금’ 늘었다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내년도 청년 종합지원 사업 중 현금성 지원사업인 자산형성분야 예산이 28.3% 증가한 반면, 일자리 분야 예산은 20.2%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국회예산정책처 예산춘추)


 

21일 국회 예산정책처는 예산춘추 68호를 발행하고 ‘2023년도 예산안의 주요 특징 및 분석 내용’ 보고서를 통해 사업성이 떨어지는 2023년도 예산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내년도 청년 종합지원 사업 4개 분야 중 가장 증가율이 높은 사업은 ‘청년 자산형성 사업’이다. 올해 본예산 1.9조원에서 2023년도 예산안 2.5조원으로 전년대비 28.3%가 늘었다.

보고서에서는 5년 만기로 5000만원의 자본을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청년도약계좌’ 사업을 두고 “자산형성 이외에 취약계층 자립유도, 중소기업 장기재직 유도 등 구체적인 정책목표와의 연계가 미흡한 측면이 있다”고 짚었다.

반면 청년 일자리 사업은 전년대비 예산이 20.2% 감소한 4.3조원에 그쳤다. 특히 청년 일자리사업 중 상당수가 적절한 평가 없이 재정이 투입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고서는 “청년 일자리사업 73개 중 39개 사업이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으로 분류되지 않아 고용노동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평가 없이 정부재정이 투입되고 있다”며 “고용유발 효과 등 성과평가 결과를 예산안에 환류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평가대상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 밖에 6.8조 규모의 주거지원 사업 중 청년원가주택 등 1조 729억원 규모의 신규편성 사업은 아직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구체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보고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확장적 재정지출로 국가채무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재정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재정지출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 연내 집행가능성이 낮은 예산 등의 조정을 통해 민간투자 활성화, 취약계층 및 고용창출 지원 등을 강화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