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찾아보기
식품/의료
food and medical
월세 맞먹는 HPV 백신…“대학생 할인도 사라져” [급빡한 뉴스]
안녕하세요. 청년들의 이주의 빡침을 소개해드리는 급빡한 뉴스입니다.
● 1달 월세 맞먹는 가다실9가 가격 “빡친다!”
가다실9가 맞는다고 이번 달 완전 ‘텅장’됐음. 꼭 맞아야 하는데 보험 처리도 안 해주고 정말 화남. 대부분 20대가 맞지 않음? 20대가 무슨 돈이 있다고… (대학생 K씨, 23세)…
맛있는 프로틴 빵? 검사하니 단백질 ‘함량 미달’
시중 유통되는 단백질 음료 및 과자 중 일부 제품에서 표기된 함량보다 단백질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백화점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3세대 단백질 식품 50건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4개 제품에서 단백질 함량의 80%에 미달하는 제품을…
필수의료과목 기피하는 의대생들, 전문의 2명 중 1명은 50대
내과, 산부인과 등 필수 의료 과목의 전문의 평균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형외과, 피부과 등의 인기 진료과로 전공의 지원이 쏠리는 것이 원인인데 일의 강도에 맞는 급여가 지급되면 해결될 문제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나온다.
5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전문의 연령…
‘매독’ 통계에 남성 많은 이유, 전문가에 물었다
최근 원숭이 두창 감염자가 전 세계적으로 1000명을 넘어서면서 이와 증상이 유사한 헤르페스나 매독과 같은 일부 성병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옆 나라 일본에서 매독 환자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최근 3년간 매독으로 인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수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여성보다…
백신 맞으면 빨리 늙는다? 사실일까[팩트체크]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백신이 노화를 촉진한다’는 내용의 글이 다수 유포돼 시민들을 불안케 하고 있다. 이같은 주장을 하는 이들은 외국 방송 화면, 외국 연구 결과 등을 근거자료로 삼았다. 과연 이들의 주장이 사실인지 확인해 봤다.
◆ 온라인에 떠도는 방송 화면, 가짜뉴스 사이트
이들이 백신이 노화를…
‘치킨=한식?’…어떻게 K-푸드 대표가 됐나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 씨가 불지핀 '치킨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 1위를 '치킨'이 차지하자 황 씨는 "시민 여러분은 자랑스러운가"라며 되묻기도 했다. 미국식 닭튀김에서 유래한 '치킨'이 진정 '한식'인지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김치·비빔밥 등 전통적 의미의 한식을 제치고 치킨은…
“한달 10kg 감량” 20대서 유행 다이어트약 부작용 어떻길래
다이어트약 오남용 문제가 심각하다. 단기간에 살을 빼기 위해 처방받은 약들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작년 안전기준을 위반해 다이어트약을 처방한 의사 중 30%가 적발 후에도 같은 처방을 지속해 경고 조치를 받았다. 그러나 단순 경고 조치만으로 실효성이 없다는 점에서 처벌 수위를…
韓 빼빼로 vs 日 포키, 막대과자 ‘원조’는 누구일까
빼빼로데이마다 불거지는 논란이 있다. 일본 과자 포키(ポッキㅡ)와 유사한 모양과 마케팅 때문에 '어느 쪽이 먼저냐'는 원조 논쟁이다. 이 논쟁은 2015년 미국 법원에서 상표권 분쟁으로 번지기까지 했다.
일본의 포키는 빼빼로와 맛도 모양도 비슷하다. 한국의 '빼빼로데이'처럼 '포키&프리츠의 날(포키의 날)'로…
[카드뉴스]우리 농산물 싸고 건강하게 ‘로컬푸트 소비체계’
우리 땅에서 난 농식품 우리가 소비 해외 진출까지 일석이조
#1. FTA(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시장 개방화 영향으로 식량위기가 부각되면서 ‘로컬푸드’ 소비체계를 확산해 식량 자급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2. 로컬푸드 소비체계란 하나의 지역단위에서…
[카드뉴스] 와규·이베리코가 최고?…한우·한돈 맛보면 달라질 겁니다
수입산 와규·이베리코가 최고? 우리 한우·한돈 "일단 맛보세요“
자유무역협정 FTA에 따른 시장개방화로 가격경쟁력과 품질을 갖춘 해외 프리미엄 고기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농촌진흥청과 국립축산과확원은 일명 ‘팝콘돼지’로…
[팩트체크] 고혈압·당뇨 환자는 백신 접종하면 안된다?
지난 21일 경기 부천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받은 60대 남성이 이틀 만에 숨졌다. A씨의 유족은 조사에서 “A씨가 과거 고혈압과 당뇨 증상이 있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가 사망한 사실이 알려지자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고지혈증이나 당뇨·심근경색있는 환자들은 접종을 피하라고 가이드라인을…
설탕세가 ‘국민 건강’ 잡을 수 있을까?
음료 속 첨가된 설탕의 양에 비례해 세금을 내는 이른바 '설탕세' 도입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3월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국민건강증진법 일부개정법률안'에는 당류가 들어 있는 음료를 제조·가공 및 수입하는 회사에게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을 내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는 최근 국내 비만 및…
[밑줄 쫙!] AZ 백신 ‘혈전’ 논란…보건 당국 “인과관계 낮아”
읽고 싶은 기사를 포털에서 골라보는 시대. 쏙쏙 이해하고 있나요? 항상 요약을 찾아 나서는 2030 세대를 위해 준비했습니다. 어제의 뉴스를 지금의 언어로 쉽게 전하는 시간. 밑줄 쫙, 집중하세요!
첫 번째/ AZ 백신의 '혈전 생성' 논란
유럽 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커피를 ‘알루미늄 캔’에 담아 준다고요?”
최근 커피전문점들은 친환경 실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매장 내 음료를 마실 때에는 일회용 컵대신 머그를 사용한다. 또 스타벅스와 같은 대형 커피 전문점들은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나 옥수수로 만든 친환경 빨대를 사용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기존의 종이·플라스틱 컵 대신 '알루미늄 캔'이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