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고민과 생각을 함께하는
MZ세대를 위한 뉴스서비스
브라우징 태그

기업문화

“MZ세대 목소리 듣자”…발 벗고 나선 기업들

기업 내 임원진과 MZ세대(1980년대 초반 이후 출생)의 소통을 위한 창구가 늘어나고 있다. ‘주니어 보드·역(逆)멘토링 제도’가 대표 사례다. 세대 간 교류를 늘려 서로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유연한 기업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다. 전문가는 기업의 이같은 움직임을 두고 시장 내 MZ세대 영향력이 확대됐다는…

[퇴사가 희망이다]”피드백과 관찰, 사랑 받는 기업문화의 시작”

 "구성원이 만족할 수 있는 기업문화와 복지 제도의 시작은 직원들에게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찬찬히 관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많은 비용을 들여 제도를 만들어놨다 한들 직원들이 그 제도가 주는 혜택을 피부로 느끼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거든요." '엄마의 마음이 깃든 건강복지', '활발한…

N포세대의눈물…⑦”현금 줘도 못버티겠어요”

“못 버티겠어요.”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은 현금지원 정책 중 하나인 ‘청년내일채움공제’을 포기하고 퇴사를 선택한다. 낮은 임금과 잦은 야근 속에서 2년 이상 장기근속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회예산정책처의 ‘2017년 정부 결산실적’ 평가보고서를 보면…

MBA 보내주는 회사 `우리은행`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 10명 중 4명이 '금융권'에 취업을 희망한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금융권 중에도 '은행'에 취업하고 싶은 응답자가 73%를 차지했다. 금융권을 희망하는 이유로 '전공을 살려 일하고 싶어서(42.2%)', '직원복지가 우수한 기업이 많아서(29.8%)', '연봉 수준이…